1. 법인사업자의 지분 배당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구분 장점 단점
급여 형태 지급 매월 정기적인 소득 확보 가능
4대보험 가입 가능
퇴직금 수령 가능
근로소득세율 적용(종합소득세율보다 일반적으로 유리)
4대보험 회사부담금 발생
퇴직급여 충당금 필요
배당금 형태 지급 회사의 수익에 따라 탄력적 운영 가능
4대보험 부담 없음
퇴직금 부담 없음
배당소득세 과세(15.4%)
이중과세 발생(법인세 납부 후 배당)
정기적인 소득 보장이 어려움
혼합형 지급 적정 수준의 급여와 배당을 혼합하여 지급
세무상 위험 분산
안정적 소득과 성과급 개념의 배당 모두 가능
4대보험 혜택과 배당의 유연성 모두 확보
 

 

2. 지분 배당 방식에 따른 세무처리 차이를 상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구분 법인 입장 수령자 입장
급여 형태 지급 시 세무처리 급여는 비용으로 인정되어 법인세 과세대상에서 제외
4대보험 회사부담금은 손금산입 가능
퇴직급여충당금도 손금산입 가능
근로소득세율 적용 (6~45% 누진세율)
연말정산을 통한 각종 공제 혜택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 혜택
배당금 형태 지급 시 세무처리 배당금은 비용으로 인정되지 않음
법인세 납부 후 남은 이익잉여금에서 지급
법인세율 10~25% 적용
배당소득세율 적용 (기본 15.4%)
종합소득세 신고 시 합산과세 가능성
이중과세 부담 발생

 

세무상 고려사항

- 법인 규모별 차이:
중소기업: 법인세율 10% (2억 이하)
일반기업: 매출규모에 따라 10~25% 차등

 

- 주의사항:
과도한 급여 지급 시 손금불산입 가능성
특수관계인 간 거래 시 정상가액 기준
배당금 지급 시 적법한 주주총회 결의 필요

 

신고의무
급여: 매월 원천징수 및 연말정산
배당: 배당소득세 원천징수 및 지급명세서 제출
법인: 법인세 신고 (사업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이러한 차이점들을 고려하여 회사의 상황과 주주의 필요에 맞는 최적의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Recent posts